내시경 식도정맥류 결찰술에서 Jcerity 내시경 기도와 기관내관의 비교: 전향적 무작위 대조 시험
홈페이지홈페이지 > 블로그 > 내시경 식도정맥류 결찰술에서 Jcerity 내시경 기도와 기관내관의 비교: 전향적 무작위 대조 시험

내시경 식도정맥류 결찰술에서 Jcerity 내시경 기도와 기관내관의 비교: 전향적 무작위 대조 시험

Mar 30, 2024

Scientific Reports 13권, 기사 번호: 11849(2023) 이 기사 인용

252 액세스

측정항목 세부정보

내시경 식도 정맥류 결찰(EVL)에는 다양한 기도 기술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런 점에서 Jcerity endscoper airway(JEA)는 위장 내시경 검사에 사용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후두 마스크 기도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EVL을 시행한 164명의 환자를 무작위로 JEA 그룹과 기관내관(ETT) 그룹(비율: 1:1)으로 나누었습니다. 내시경 시술의 성공률, 내시경 삽입 ​​시간, 시술 기간, 회복 시간, 기도 기술 발관 시간, 마취 비용, 입원 기간, 합병증 및 혈역학적 지표를 기록했습니다. JEA 그룹의 EVL 성공률은 ETT 그룹(98.8% 대 100.0%)에 비해 비열등했습니다. 기도삽입시간, 마취시간, 회복시간은 ETT군에 비해 JEA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p<0.001). 또한, 발관 중 혈압은 JEA 그룹에서 더 안정적이었습니다(p < 0.001). 더욱이, JEA 그룹에서는 삽관(p<0.005) 및 발관(p<0.05) 중 심박수 변화가 더 적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시경 의사의 만족도 점수는 두 그룹 간에 비슷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우리의 연구 결과는 JEA가 EVL의 임상 사용에 효율적이고 안전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시험 등록: 중국 임상 시험 레지스트리, ChiCTR2000031892, 2020년 4월 13일 등록, https://www.chictr.org.cn/searchproj.html.

지난 10년 동안 비수술실 마취(NORA) 부위 및 서비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했으며1, 위장관(GI)실에서의 마취 서비스 사용은 2010년에서 2014년 사이에 10.8%에서 17.3%로 증가했습니다2. GI실에서는 기관내관 없이 마취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튜브를 사용하지 않는 마취 중에 환자는 다양한 마취 깊이 사이를 자주 전환합니다3. 진정은 일반적으로 안전하게 시행되지만, 기도를 조절하지 않은 진정은 비OR에서 치료받은 환자에서 호흡억제(환기부족)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사망 발생률도 일반 환자에 비해 높다. ORs4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 주목할 만한 점은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환자보다 상부 위장관 시술을 받은 환자에서 심폐정지 및 저산소증이 더 자주 발생했다는 것입니다5.

EVL은 수술 전후 출혈 및 역류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가장 까다로운 내시경 시술 중 하나입니다6. 결과적으로 EVL은 일반적으로 기관내 삽관 여부에 관계없이 깊은 마취하에 수행됩니다7. 심부마취를 하면 몸의 움직임, 질식 등을 줄여 출혈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기관내 삽관은 기도 보호 달성에 큰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기관내 삽관 없이 프로포폴 진정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기관내 삽관을 시행한 마취 하에 수술을 받은 환자에 비해 진정 관련 부작용(SRAE)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51.5% 대 9.9%, p<0.001). SRAE에는 말초 산소 포화도(SpO2) < 90% 및 기도 조작8이 포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관내 삽관을 통한 전신 마취에는 간 기능을 더욱 손상시키고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는 상당한 양의 마취제가 필요합니다. 게다가, 이는 상당한 혈역학적 변동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도 관리를 강화하고, 저산소증을 예방하고, 삽관의 필요성을 회피하여 궁극적으로 환자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내시경 EVL에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도 기술이 연구되었습니다.

Jcerity Endscoper Airway(Zhejiang Jcerity Medical Technology Co., Ltd)는 새로 개발된 후두 마스크로 뒤쪽에 추가 및 별도의 홈이 있다는 점에서 내시경 시술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습니다(그림 1). 이 장치는 위장관 내시경 검사에서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JEA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는 하지만 내부 직경이 16mm인 위 내시경 채널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한 장치인 LMA® Gastro™ 기도(Teleflex Medical, North Carolina, Morrisville, North Carolina)에 대한 여러 연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9. 최근 연구에 따르면 LMA® Gastro™ airway는 높은 내시경 성공률을 보장하고 삽입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0. 또 다른 후향적 분석에서는 이 장치가 고위험 환자의 고급 내시경 중재술에 적용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11. 또한 LMA® Gastro™ 기도 장치는 내시경 역행 쓸개이자조영술(ERCP)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기도 관리가 필요하고 미국 마취과 학회(ASA) III-IV 신체 검사를 받은 고위험 환자 치료에 대한 잠재력을 검증했습니다. 상태12,13,14. 현재 정맥류 밴딩 키트와 같은 내시경 보조 장치는 내시경 직경(15~16mm)을 늘릴 수 있으므로 LMA® Gastro™ 기도의 위 내시경 채널(16mm)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내시경 삽입. 반면, JEA는 내경이 더 큰 위내시경 채널(사이즈 3: 18 × 20 mm, 사이즈 4: 20 × 22 mm)을 갖추고 있어 정맥류 밴딩 키트를 원활하게 삽입하여 EVL이 가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MA® Gastro™ airway의 효능에 대한 전향적 시험 데이터가 부족하고 EVL과 같은 복잡한 내시경 중재술을 받는 고위험 환자에 대한 JEA와 ETT의 효능을 비교하는 데이터도 없습니다.

 25–30 cmH2O and square-wave capnographic traces. Ventilation parameters were set at a tidal volume of 8 ml/kg and a rate of 8–15 bpm to keep end‑tidal carbon dioxide tension at 35–40 mmHg.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1‑1.5% sevoflurane (Abbott Core Laboratory, Chicago) and its depth was monitored by the BIS, ranging from 40 to 6017, and remifentanil (4‑6 µg/kg/h) was continuously infused through a micropump (syringe infusion pump Model 500). All anesthetic regimens were discontinued upon completion of the last ligation. Once the patient regained consciousness and achieved sufficient spontaneous respiration, the JEA or ETT was removed. All endoscopic interventions were completed by qualified attending endoscopists with at least 5 years of experience./p> 160/100 mmHg) were recorded as hemodynamic events./p> 160/100 mmHg), bradycardia, sore throat, postoperative nausea or vomiting, urinary retention, poor muscle strength, and reflux, were recorded during and after endoscopic interventions. The attending endoscopist's satisfaction with advancing and operating the endoscope was assessed via VAS score: 0 = not satisfied, 10 = very satisfied./p> 0.05)./p> 0.999), and we observ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in their mean insertion times. One attempt to place the JEA was defined as unsuccessful because the endoscope was not successfully inserted after three attempts. Nonetheles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ttending endoscopist's satisfaction with advancing and operating the endoscope between the two groups (Table 2)./p> 0.05). Our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nausea, vomiting, or urinary retention (p > 0.05). Moreover, we observed no perioperative bleeding or reflux cases in either group. However, a higher number of patients in the ETT group exhibited a blood pressure reading higher than 160/100 mmHg during extubation (p < 0.05), and a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in the ETT group exhibited poor muscle strength after extubation (p < 0.05) (Table 3)./p> 160/100 mmHg). Collectively, these findings substanti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JEA./p>